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구안와사는 일반적으로 안면의 한쪽이 마비되어 입이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눈을 제대로 감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흔히 "안면신경마비" 또는 "벨마비(Bell’s palsy)"로도 불리며, 연령, 성별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본 글에서는 구안와사 생기는 원인에 대해 현대의학과 한의학의 관점에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안면신경의 염증과 압박

    가장 대표적인 구안와사의 원인은 **제7번 뇌신경(안면신경)**의 염증입니다. 안면신경은 얼굴 표정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인데, 이 신경이 염증으로 인해 부풀거나 좁은 뼈관(측두골)을 지나는 부위에서 압박을 받으면 마비 증상이 발생합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흔한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형(HSV-1)**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수포를 유발하는 단순포진의 원인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체내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 활성화되어 안면신경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면역력 저하와 스트레스

    면역 체계가 약화되면 바이러스가 쉽게 활동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과로, 수면 부족,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모두 면역력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요인입니다. 특히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을 초래해 안면신경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임산부, 당뇨병 환자, 고혈압이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처럼 면역력이 약한 경우 구안와사 발병률이 더 높습니다.

    3. 추운 날씨 및 급격한 기온 변화

    구안와사는 흔히 겨울철이나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많이 발생합니다. 찬바람을 직접 맞거나 얼굴이 차가운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되고, 이로 인해 안면신경으로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게 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찬바람 맞고 나서 입 돌아갔다"는 말처럼,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는 구안와사의 주요 유발 요인 중 하나입니다.

    4. 한의학적 관점 – 풍(風)과 담(痰)의 영향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를 **‘구안괘사(口眼喎斜)’**라 하며, 주로 외부의 사기(邪氣), 특히 **풍사(風邪)**가 얼굴에 침범하여 안면경락의 기혈 흐름이 막히면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또한, 체내에 쌓인 담(痰)이 경락을 막고 신경기능을 저해하는 것도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즉, 한의학에서는 **신체 내부의 허약함(정기 부족)과 외부 환경의 침입(풍한 습열 등)**이 결합되어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석합니다.

    5. 드물게 나타나는 기타 원인들

    대부분의 구안와사는 특발성(정확한 원인이 없음)으로 분류되지만, 다음과 같은 기질적인 질환도 구안와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중추성 뇌졸중 (특히 뇌간의 손상)
    • 뇌종양 또는 청신경종양
    • 라임병, 대상포진(램지 헌트 증후군)
    • 귀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신경 손상

    이러한 경우는 구안와사 외에 다른 신경학적 증상(예: 팔다리 마비, 어지럼증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정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핵심

    구안와사는 대부분 예후가 좋은 질환이지만,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회복 속도를 좌우합니다. 특히 증상 발생 초기 72시간 이내에 약물치료(스테로이드, 항바이러스제)를 받으면 효과가 뛰어납니다. 아울러, 온찜질, 안면 근육 마사지, 침 치료 등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구안와사는 면역력 저하, 바이러스 감염, 스트레스, 찬바람 노출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평소 건강 관리와 충분한 휴식, 스트레스 해소, 면역력 강화가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