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내가 지금 산 주식, 수익이 얼마나 나고 있는 걸까?”
“수익률이 15%라는데, 실제 수익은 얼마지?”
주식을 하다 보면 수익률 계산은 필수적인 투자 스킬입니다.
하지만 수익률 계산법이 헷갈리거나 정확한 공식을 몰라서 대충 어림짐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수익률 계산법을 아주 쉽게, 단계별로 실전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엑셀, 계산기, 앱 없이도 손쉽게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 주식 수익률이란?
**수익률(%)**이란, 내가 투자한 금액에 비해 **얼마나 이익(또는 손실)**이 발생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입니다.
✅ 기본 공식
🔹 주식 수익률 계산 예시
✅ 예시 1 – 단순 계산
- A씨는 삼성전자 주식을 50,000원에 10주 매수 (총 500,000원 투자)
- 이후 60,000원에 10주 전량 매도 (총 600,000원 수익)
👉 수익: 600,000 – 500,000 = 100,000원
👉 수익률: (100,000 ÷ 500,000) × 100 = 20%
📌 즉, A씨는 20%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배당금 포함 수익률 계산법
배당금을 받은 경우에는 실제 수익에 배당도 포함해야 더 정확한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공식
✅ 예시 2 – 배당금 포함
- B씨는 LG화학을 800,000원에 매수, 900,000원에 매도
- 중간에 배당금 20,000원 수령
👉 수익 = (900,000 + 20,000 – 800,000) = 120,000원
👉 수익률 = (120,000 ÷ 800,000) × 100 = 15%
🔹 수수료/세금 반영 수익률 계산
실제 투자에서는 **매매 수수료 + 증권거래세(매도시 0.23%)**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수익률은 이 비용들을 반영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 공식 (수수료 고려)
📌 증권사에 따라 수수료는 **0.003% ~ 0.5%**까지 다르므로, 거래 전 꼭 확인하세요.
🔹 연 수익률 계산법 (복리 기준)
장기투자 시에는 단순 수익률보다 **연복리 수익률(CAGR)**이 중요합니다.
특히, 3년 이상 투자했다면 복리 수익률을 꼭 확인하세요.
✅ 공식 (연복리 수익률)
✅ 예시 3 – 3년 투자 시
- 2022년에 1,000,000원 투자 → 2025년에 1,400,000원 됨
- 보유 연수: 3년
- CAGR = [(1,400,000 ÷ 1,000,000)^(1/3)] – 1 ≒ 0.118 ≒ 11.8%
👉 연평균 약 11.8% 복리 수익률입니다.
🔹 엑셀 수익률 계산 함수
엑셀을 자주 사용하는 분은 아래 함수를 활용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매도금액 - 매수금액)/매수금액
- =XIRR(현금흐름 범위, 날짜 범위) ← 연복리 계산에 활용
🔹 수익률 확인 가능한 무료 앱 추천
네이버 증권 | 간편 수익률 확인, 보유 자산 관리 |
키움 영웅문S | 매수/매도 수익률 자동 계산 |
토스증권 | 수익률 + 배당내역 자동 계산 |
증권플러스 | 손익 분석, 종목별 투자현황 시각화 |
👉 초보자는 토스증권이나 네이버 금융부터 시작하면 편합니다.
✅ 마무리 – 수익률은 투자 성적표다
주식 수익률 계산은 단순히 "돈을 벌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종목이 수익을 냈고, 어떤 전략이 효과적이었는지 분석하는 기준이 됩니다.
📌 수익률을 정확히 계산해야 다음 투자가 보입니다.
📌 투자 후, 수익률과 실수익을 기록해두는 습관을 들이세요.
📌 배당, 수수료, 세금까지 반영한 진짜 수익률을 확인하는 것이 진짜 실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