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1. 주가 현황 및 실적 흐름

     

    • 📌 현 주가 약 61,900 원 (7월 18일 기준), 52주 범위는 37,500 – 72,100 원 
    • PER: 약 50 배, PBR: 약 0.9 배
       – PER 기준 고밸류이지만 PBR 기준 상대 저평가 상태
    • 배당 수익률: 약 0.7% 수준 

    🔍 2. 침체 원인 분석

     

    • 2022~2023년: 두 해 연속 적자
      – 2022년 약 1,087억 원 적자, 2023년 약 696억 원 적자 발생 
    • 재무구조 우려
      – 인수합병 확대와 하이브 지분 매각 이어진 단기차입 증가. 차입금 중 단기 비중이 60% 이상 
    • 게임 시장 정체
      – 모바일 이용자 감소, 경쟁 심화 등으로 업황 둔화 

    📈 3. 흑자 전환과 주가 반등 모멘텀

     

    • 2024년 연간 실적 흑자 전환
      – 매출 2.66조 원, 영업이익 2,156억 원 기록 
    • 분기 흑자 유지
      – 2분기 영업이익 1,112억 원 기록하며 흑자세 강화
    • 신작 다출 전략 효과
      – ‘나혼렙’, ‘세븐나이츠 리버스’, ‘RF 온라인 넥스트’ 등 기대작 흥행 
    • 해외 매출 비중 확대
      – 2024년 해외 비중 79~83%, 북미·유럽 등 다수 지역 공략 
    • 기관·외국인 수급은 여전히 부담
      – 6월 말부터 기관·외국인 매도세 지속, 주가에 단기적 압력 

    🛠 4. 향후 발전 전략

     

    • 신작·IP 전략 강화
      • 2025년 하반기 ‘일곱 개의 대죄’, ‘아스달 연대기’, ‘킹즈로드’ 등 총 9종 신작 예정 
      • 내부 IP 비중을 약 65%까지 끌어올려 자체 콘텐츠 육성 
    • 글로벌 다변화 확대
      • 해외 매출 80% 목표, 북미·유럽 중심 글로벌 조직 확대 및 인수·합병(M&A) 적극 활용
    • AI·운영 효율성 제고
      • AI 기술을 게임 운영·계정 보안·서버 관리 등 본격 적용 
    • 재무 안정 전망
      • 하이브 지분 매각(약 5,235억 원 규모)을 통한 차입금 상환 및 이자 부담 경감 
    • ESGㆍ신사업 투자
      • 블록체인·메타버스, 지속가능경영 강화 등을 통해 미래 사업 기반 마련 

     

     


    ✅ 5. 투자 관점 요약

     

            구분                  내용

     

    단기 리스크 기관·외국인 수급, 국내 플랫폼 정체
    중기 모멘텀 신작 라인업·글로벌 확장·흑자 고정
    핵심 리스크 M&A 후 재무 부담, 신작 실패
    기회 요소 IP 전략 확장, AI 기반 운영 효율, 재무 리스크 완화
    투자 전략 중립 → 긍정 전환 단계: 2~3분기 실적과 출시 성과 확인 후 리스크 대비 진입 추천
     

    🔚 종합평가

     

    • 넷마블은 2024년 실적 턴어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2025년부터는 신작 모멘텀과 글로벌·AI·IP 전략으로 성장 경로 구축 중입니다.
    • 단, 수급 불안과 재무 부담, 신작 흥행 리스크는 여전히 주시 요인입니다.
    • 중장기 성장 기대 크나, 단기적으로는 성과 확인 이후 단계적 접근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