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시장 점유율과 고객 기반 비교

     

    • TSMC는 2024년 1분기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61.7%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며 독보적 1위 (약 188억 달러 매출) 
    •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11%대 점유율, AI 서버 수요 증가 속에서도 격차는 유지 중 

    TSMC는 애플, 엔비디아, AMD, 퀄컴 등 주요 팹리스 기업과 장기 계약을 맺고 있으며
    고객사 신뢰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중입니다 


    삼성은 메모리·전력소재·패키징 통합 역량을 강점으로 하나, 팹리스 고객사가 제한적입니다


    2. 미세공정 기술 경쟁력

     

    🚀 삼성전자

    • 2022년 세계 최초 3nm GAA(MBCFET) 양산 시작 → 5nm 대비 전력효율·성능 대폭 개선 
    • 2025년 2nm GAA 공정 양산 목표, 2027년까지 1.4nm 계획 중 

    🚀 TSMC

    • 3nm N3/N3E 공정에서 높은 수율 안정성 확보 → 현재 시장의 프리미엄 제품 생산 주도 중 
    • 2025년 2nm N2 양산 및 2026년 1.6nm, 2027년 ~1nm 계획 공개. GAA 등 최신 공정 도입 예고 

    3. 수율 및 신뢰도 비교

     

    • TSMC는 3nm 공정에서 70~80% 수율로 안정성 확보, 고객 신뢰 유지 중 
    • 삼성은 GAA 기술로 기술 선도성을 보여주지만, 초기 수율이 낮아 고객 이탈 발생. 최근 수율 추정치 60% 후반까지 개선 중이나 여전한 과제 

    4. AI 반도체 대응력 및 기능 비교

     

        항목                TSMC                  삼성전자

     

    AI 칩 고객 엔비디아, AMD, 애플 테슬라 FSD, 구글 TPU, 자체 NPU
    패키징 기술 CoWoS 세계 1위 X‑Cube, H‑Cube 등 통합 솔루션 보유
    메모리 연계 SK하이닉스 등 협업 메모리-파운드리 통합 구도 구축.
     

    5. 투자 및 전략 방향성

     

    TSMC

    • 막대한 CapEx 투자를 통해 첨단설비 확보 (EUV장비 70% 점유)
    • 미국·일본 등 글로벌 생산 확대
    • 고객사 맞춤형 초미세 공정으로 프리미엄 포지션 강화 

    삼성전자

    • 2025년 미국 텍사스 Taylor 공장 가동 계획, 수율 개선이 관건
    • 메모리 + 파운드리 + 패키징 수직 계열화 전략 추진
    • AI 반도체 중심의 기술 투자로 추격 모색 

    6. 종합 비교표 (2025년 기준)

     

                항목                                      TSMC                                      삼성전자

     

    시장 점유율 ★★★★★ ★★☆☆☆
    수율 안정성 ★★★★★ ★★★☆☆
    첨단공정 선도성 ★★★★☆ ★★★★★
    고객 신뢰도 ★★★★★ ★★★☆☆
    AI 대응력 ★★★★★ ★★★★☆
    통합 반도체 역량 ★☆☆☆☆ ★★★★☆
     

    7. 투자자 시사점

     

    • TSMC는 구조적 리더로서 안정적 비중 유지에 적합
    • 삼성은 기술과 수율 개선 실현 시 Upside 포텐셜 있어 단기 전략적 접근 가능
    • 향후 2nm, 1.4nm 공정 수율 및 고객 수주 여부가 삼성의 변수
    • AI 반도체 선두 경쟁은 TSMC의 안정성 vs 삼성의 통합 역량 경쟁 국면

    ✅ 결론

     

    TSMC는 시장 리더십과 안정성 측면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기술 선도와 수직 계열화에서 차별적 강점을 보유 중입니다. 그러나 수율 개선과 고객사 확대 여부가 삼성의 향후 파운드리 경쟁력 회복의 핵심입니다.

     

    2025~2026년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반등 여부의 골든타임이며, TSMC는 AI 반도체 중심의 성장 기반 강화를 지속할 것입니다. 투자자는 양사의 전략 변수와 기술 성과를 면밀히 관찰하며 투자 판단을 구성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