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현재, IT와 AI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주목받는 기업이 바로 LG CNS입니다.
클라우드, AI, 데이터 통합 역량을 바탕으로 의료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 AI 관련주’로서 눈여겨볼 가치가 큰 기업입니다.
기업 개요 및 재무 동향
- IT 서비스 중심 계열사
LG CNS는 1987년 설립된 LG그룹의 IT 서비스 전문 계열사로, 시스템 통합(SI), 클라우드, AI,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2025년 코스피 상장 및 실적
2025년 2월 코스피에 상장되었으며, 대규모 IPO로 약 1.2조 원을 조달했습니다 -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 약 4조 원, 영업이익은 약 3,130억 원을 기록했으며, 매출의 54%가 클라우드와 AI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등 높은 성장성과 수익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의료 AI·디지털 헬스케어 핵심 전략
1. AI 기반 의료 데이터 플랫폼 구축
- DXVX와의 협업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 DXVX와 협업해, 구글 클라우드 및 LG CNS AI 기술 기반의 의료 데이터 플랫폼을 공동 개발 중입니다. DXVX는 44만 건 이상의 임상 및 유전체 데이터를 보유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 확장을 추진합니다
2. 신약개발 및 헬스케어 AI 솔루션 구축
- 구글 클라우드 기반 AI 활용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AI 에이전트, 유전체 데이터 분석, 단백질 구조 예측 기반 신약개발 솔루션을 구축하며 헬스케어·바이오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LG CNS는 구글 클라우드 '생성형 AI 전문기업' 인증을 아시아 최초로 획득했으며, 해당 분야 글로벌 확장도 추진 중입니다
3. 클라우드·AI 기반 X-ray 영상 실시간 분석
- 루닛과의 Open Innovation
LG CNS는 의료 AI 기업 루닛과 협력해, 클라우드 기반 AI 엑스레이 영상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폐질환 의심 부위를 15초 이내에 식별하는 기술로, 공공보건 의료 서비스에 혁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4.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확장
- ‘원닥터’ 서비스 개발
LG CNS는 스마트 기기를 통한 건강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하는 원닥터(One-Doctor)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자와 의료진을 연결하며 원격진료, 질병 예측,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입니다. 스마트시티 사업과 연계해 인도네시아 시장 등 해외 진출도 검토 중입니다
투자 요약 테이블
항목 주요 내용
토털 IT 인프라 역량 | 클라우드, AI, 데이터센터, SI 등 첨단 인프라 통합 제공 |
수익성 강점 | 클라우드·AI 중심 매출 확대, IPO로 자금 확보 |
헬스케어 AI 확장 | 의료 데이터 플랫폼, 신약개발 AI, 영상 AI, 원격진료 등 다각도 전략 |
글로벌 협업 기반 | 구글 클라우드와 협업 및 해외 확장 추진 |
차별화 경쟁력 | 제조·금융 넘는 헬스케어 특화 IT/AI 담당 기업 위치 확보 |
리스크 요인
- 헬스케어 사업 초기 단계: 플랫폼과 AI 솔루션들이 아직 시범 단계로, 수익화 시점이 불확실합니다.
- 규제 및 의료 인허가 부담: 원격의료 및 의료 AI 콘텐츠는 각 국가 의료 규제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삼성SDS, 인피니트헬스케어 등의 기업과 경쟁 속, 차별화 전략 유지 필요.
마무리 정리
LG CNS는 클라우드·AI 기반 인프라 역량 + 의료 AI 솔루션 개발 + 글로벌 파트너십이라는 3박자를 고루 갖춘 전략 기업입니다.
특히 의료 데이터 플랫폼, 영상 AI, 신약개발 AI 등 다방면에서 헬스케어 업계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핵심 기업으로, 향후 의료 AI 관련주로서 투자 포트폴리오에 충분히 고려할 만한 종목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