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현재, **바이오로그디바이스(208710)**는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용 핵심 부품 공급을 기반으로 생체인식과 양자보안 분야까지 확장하며, 기술 다양성과 확장성으로 주목받는 기업입니다.


    기업 개요

     

    • 설립 및 상장 정보
      바이오로그디바이스는 2012년 7월 설립된 이후, 2015년 코스닥에 상장한 IT·전자기기 제조 전문기업입니다 
    • 주요 사업 분야
      스마트폰 카메라의 AF/OIS FPCB Assy 모듈을 중심으로, **지문인식 센서(BF 시리즈)**와 얼굴 인식 단말기 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핵심 제품 & 기술 역량

     

    • 카메라 모듈 부품
      AF, OIS 기능이 포함된 FPCB Assy는 전체 매출의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국내 대형 스마트폰 제조사의 1차 협력사로 납품 중입니다 
    • 생체인식 솔루션
      정전용량식 지문센서(BF10A~BF30A 등)와 온도 감지 얼굴인식 기기 등의 R&D를 지속하며, 의료기기 인증 추진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 양자보안(QRNG) 기술
      양자난수생성 기반 보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CES 2025 이슈로 인해 테마주로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재무성과 및 최근 동향

     

    • 실적 흐름
      2023년 기준 매출 1,234억 원이었으나, 영업손실 약 32억 원 및 순손실 약 13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이 상승한 반면, 수익성은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 반기 기준으로는 2024년 매출 668억 원, 영업손실 22억 원, 순손실 40억 원으로, 매출 증가에도 여전히 적자가 지속 중입니다 
    • 주가 및 테마 이슈
      CES 2025에서 양자컴퓨팅 기술이 주목받으며 양자보안 관련 테마주로서 주가가 30%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 또한, 2023년 최대주주 변경 공시와 함께 시간외 상한가 기록 등,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만한 이슈도 있었습니다 

    투자 포인트 정리

     

         항목                                    핵심 요약

     

    기본 사업 기반 AF/OIS 카메라 모듈 기술의 안정적 공급 기반 확보
    기술 확장성 생체인식 및 양자보안 기술로 신사업 가능성 확대
    테마 접근성 CES 2025 이슈로 양자보안 테마주로 주목
    실적 회복 기대 매출 상승 중이나 수익성 확보는 향후 과제
    주식 시장 반응 최대주주 변경 및 테마 이슈에 따른 주가 변동성 존재
     

    결론 – 미래 기술 기업으로 재탄생 중인 바이오로그디바이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는 카메라 모듈 기술에서 시작해 생체인식과 양자보안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기술 중심 기업입니다.

     

    현재는 수익성 확보가 과제로 남아 있지만, 기술 역량과 테마 인지도는 투자자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중장기 포트폴리오에 포함할 가치가 있는 미래형 기업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